국기라고 하면 대부분 가로 직사각형의 2:3 비율을 떠올리지만, 몇몇 국가는 독특한 형태, 색상, 심지어 무기까지 그려진 특이한 국기를 가지고 있습니다.
지금부터 세계에서 가장 특이하고 재미있는 국기들을 소개하겠습니다!
1. 네팔 🇳🇵 – 유일한 비정형(삼각형) 국기
1) 특징
-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직사각형이 아닌 국기
- 두 개의 삼각형이 겹친 형태
- 태양과 달이 그려져 있음
2) 의미
- 삼각형: 히말라야 산맥과 네팔의 두 주요 종교(힌두교와 불교)
- 태양과 달: 영원한 국가의 지속과 불굴의 정신을 상징
- 빨간색: 용기, 파란색 테두리: 평화
3) 재미있는 사실
네팔 국기는 수학적으로 가장 복잡한 국기입니다.
- 네팔 헌법에는 국기를 그리는 방법이 기하학적인 공식을 이용해 명시되어 있음!
- 단순한 사각형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선과 각도로 정확하게 그려야 함
2. 스위스 🇨🇭 – 정사각형 국기
1) 특징
- 전 세계에서 거의 유일한 정사각형 국기
- 적십자(국제적십자위원회)의 기원이 된 국기
2) 의미
- 붉은 바탕: 용기와 강한 의지
- 흰색 십자가: 기독교 신앙과 중립성
3) 재미있는 사실
- 바티칸도 정사각형 국기를 사용하지만, 대부분의 국제 행사에서는 2:3 비율의 장방형 버전을 사용함.
- 적십자기(국제적십자위원회 기)는 스위스 국기의 색을 반전한 것! (흰색 바탕에 빨간 십자가)
3. 자메이카 🇯🇲 – 검은색이 포함된 유일한 국기
1) 특징
- 검은색이 포함된 유일한 국기 (흑색, 녹색, 노랑)
- 십자가 모양이 있는 디자인
2) 의미
- 검은색: 과거의 고난과 역경
- 초록색: 풍요로운 자연과 농업
- 노란색: 태양과 밝은 미래
3) 재미있는 사실
- 1962년 독립 당시 기존 디자인(수평 줄무늬)이 상하이 국기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변경됨
- 올림픽 육상 경기에서 자주 보이는 국기(우사인 볼트 덕분에 유명)
4. 모잠비크 🇲🇿 – 총이 그려진 국기
1) 특징
-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AK-47 소총이 그려진 국기
- 국기 한가운데에 칼라시니코프 소총(AK-47) + 탄창 + 책이 있음
2) 의미
- 총과 칼: 독립 전쟁과 방어의 상징
- 책: 교육과 지식
- 초록색: 농업과 자연
- 검은색: 아프리카 대륙
- 노란색: 천연자원
- 빨간색: 독립운동에서 흘린 피
3) 재미있는 사실
- 여러 차례 국기를 변경하려 했지만, 국민 투표에서 계속 총을 유지하자는 의견이 많아 그대로 유지됨
- 국기에 무기가 있는 유일한 나라
5. 바레인 🇧🇭 – 가장 적은 색상의 국기
1) 특징
- 단 두 가지 색상(빨강, 흰색)만 있는 단순한 디자인
- 빨강과 흰색 경계에 5개의 톱니 모양이 있음
2) 의미
- 빨강: 역사적으로 사용된 아랍 국가의 전통 색상
- 흰색: 평화
- 5개의 톱니: 이슬람의 5가지 기둥(신앙, 기도, 자선, 단식, 순례)
3) 재미있는 사실
- 원래는 단순한 빨강+흰색 이분할 국기였으나, 2002년에 톱니가 추가됨
- 카타르 국기(비슷한 디자인)와 헷갈릴 수도 있음! (카타르는 진한 자주색이며 톱니가 9개)
6. 키프로스 🇨🇾 – 지도를 포함한 국기
1) 특징
- 국기 안에 나라 지도가 포함된 드문 사례
-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 가지 두 개가 포함됨
2) 의미
- 노란색 섬 지도: **구리(Cu, Copper)**의 풍부한 매장량을 의미
- 올리브 가지: 그리스와 터키계 주민 간의 평화 희망
3) 재미있는 사실
- 1960년 독립 이후 만들어졌으며, 중립성을 강조하기 위해 빨강, 파랑 등을 제외
- 지도 모양이 실제보다 약간 뚱뚱하게 그려짐!
7. 부탄 🇧🇹 – 용이 그려진 국기
1) 특징
- 하얀 용(드루크)이 정교하게 그려져 있음
- 용의 발톱에는 보석이 달려 있음
- 국기의 배경이 대각선으로 나뉘어 있음
2) 의미
- 용(드루크, Druk): 부탄에서 자신들을 “용의 땅(드루크 윌, Druk Yul)”이라 부름
- 주황색: 불교의 가르침
- 노란색: 왕의 권위
- 용의 발톱에 든 보석: 국가의 부와 번영
3) 왜 복잡한가?
- 용의 디테일한 비늘과 발톱 표현이 정교함
- 색상이 대각선으로 나뉘어 있어 인쇄할 때 까다로움
8. 벨리즈 🇧🇿 – 사람과 도구가 포함된 국기
1) 특징
- 국기 중앙에 **매우 디테일한 문장(엠블럼)**이 들어감
- 문장 안에는 두 명의 사람, 도구, 배, 나무가 포함됨
-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국장(Emblem)이 있는 국기
2) 의미
- 두 명의 사람: 하나는 유럽계, 하나는 아프리카계 (다양한 문화 반영)
- 도구(도끼, 톱, 노): 목재 산업의 역사
- 배: 벨리즈의 해양 자원과 무역
- 올리브 가지: 평화
3) 왜 복잡한가?
- 국기 안에 실제 인물과 도구가 들어간 드문 사례
- 세밀한 엠블럼 디자인 때문에 작게 제작하면 제대로 보이지 않음
끝으로 대한민국 국기인 태극기를 알아보며 마치겠습니다.
9. 한국 - 태극기
(1) 구성 요소
1) 흰색 바탕
2) 중앙의 태극 문양
3) 네 개의 사괘(건, 곤, 감, 이)
(2) 각 요소의 의미
요소 | 의미 |
⚪ 흰색 바탕 | 밝음, 순수, 평화 |
☯️ 태극 문양 (빨강 & 파랑) | 음양 조화 (우주의 균형) |
🔲 네 개의 사괘 (건, 곤, 감, 이) | 자연의 조화 (하늘, 땅, 물, 불) |
1)️ 태극 문양의 의미
- 빨강 (양, 陽): 하늘, 불, 적극성, 창조
- 파랑 (음, 陰): 땅, 물, 수동성, 포용
- 두 색이 조화를 이루며, 우주의 균형과 자연의 원리를 상징
(3) 네 개의 사괘(四卦)와 상징
사괘 | 이름 | 의미 | 자연 요소 |
☰ | 건(乾) | 하늘, 창조, 강함 | 🌞 하늘 |
☷ | 곤(坤) | 땅, 포용, 순응 | 🌍 땅 |
☵ | 감(坎) | 물, 지혜, 변화 | 🌊 물 |
☲ | 이(離) | 불, 광명, 열정 | 🔥 불 |
➡ 네 개의 괘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나타냄
(4) 태극기의 역사
1) 고대 문양에서 유래
- 태극 문양은 고구려 고분 벽화(삼족오 문양)나 신라 유물에서 발견됨
- 음양 사상과 주역(周易)의 철학적 개념이 포함됨
2) 최초의 태극기 (1882년, 조선 말기)
- 조선 고종 시대에 공식적으로 제작
- 1882년 박영효가 일본에 외교 사절로 가면서 처음 사용
- 당시 국기는 태극과 사괘가 있었지만 디자인이 조금 달랐음
3) 대한제국과 독립운동 시기의 태극기
- 대한제국(1897~1910) 시기에 공식 국기로 사용
- 일제강점기 동안 독립운동가들이 저항의 상징으로 태극기를 사용
4) 현재의 태극기 (1948년~현재)
-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공식 국기로 확정
- 1949년 태극기의 표준 규격이 정해짐
(5) 태극기의 규격과 비율
- 가로 : 세로 = 3:2
- 태극 문양의 크기와 사괘 위치가 정확히 정해져 있음
공식적인 규격에 따라 제작됨
'디자인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디자인 정보] 유행 컬러는 어떻게 만들어질까? (18) | 2022.05.26 |
---|---|
[디자인 정보] AI로 만든 가상 인간이 모델이 되는 세상 (0) | 2022.05.17 |
[디자인 정보] 알면 힘이 되는 정보, 저작권 어디까지 아세요? (4) | 2022.05.04 |
[디자인 정보] 정치 광고에 등장한 이모지(Emoji) (10) | 2022.04.28 |
[디자인 정보] 비언어적 의사소통(Nonverbal communication)과 디자인 (6) | 2022.04.25 |